본문 바로가기

두통

사경과 근긴장이상 #2 치료편 (보톡스)

반응형

 

보톡스 얘기를 해보겠습니다. 

 

주름 개선 목적으로 쓰는거 아닌가요? 

모두 이렇게들 얘기 하십니다. 

보톡스는 1985년부터 근긴장 이상의 치료에 사용되었는데요. 

 

1985년 Tsui 등이 경부 근긴장이상증을 보이는12명에게 보툴리늄 독소 A의 사용을 보고한 이후
보툴리늄 독소가 경부 근긴장이상증을 호전시킨다는 많은 연구들이 보고되었습니다. 

 

 


2000년 12월에 미국에서 보툴리늄 독소가 경부 근긴장이상증의 치료에 사용 허가된 이후에 경부 근긴장이상증의 일차 치료로 근긴장이상증을 유발하는 근육내 보툴리늄 독소의 주사가 사용되고 있으며,

성공률은 약70%에 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었습니다. 

 


평균 지속시간은 약 12주이며 
발병 연령이 적을수록, 
발병 후 5년 이내인 경우 등이 주사요법에 예후가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약 3~6개월 간격으로 반복 주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국내에는 보툴리늄 독소 A 제제로 미국 제품인 Botox(100unit/vial) 와 

영국제품인 Dysport (500 unit/vial)와 보툴리늄 독소 B 제제인 Myobloc (5,000 unit /2 ml)이 사용되고 있으며, 

독일을 포함한 유럽 일부 국가에서 complexing protein이 포함되지 않은 보툴리늄 독소 A인
Xeomin이 판매되고 있습니다. 

경부 근긴장이상증을 유발하는 주요 근육의 정확한 선택과 
적절한 용량의 주사 여부가 치료 효과를 결정하며, 
삼킴 장애(dysphagia)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효과는 주사 후 약 7.5일 후에 시작되어 약 16일에 최고 효과가 나타나며 
4주에 plateau에 도달하고 그 효과는 평균 3~4개월간 지속된다 알려져 있습니다.

 



경부 근긴장이상증에 대한 보툴리늄 독소 주사는 

근육 및 결합조직(connective tissue)에 구축 등이 발생하지 않은 초기에 주사할수록 반응이 좋은데요. 

물론 의사의 경험이 중요하죠. 

 

 


두경부 이상 자세에 따라 주사할 근육을 선택하는 바, 

흉쇄유돌근(sternocleidomastoid muscle), 두판상근(splenius capitis muscle), 상승모근(upper portion of trapezius muscle)과 견갑거근(levator scapulae muscle)등이 가장 흔히 주사되는 근육입니다. 


삼킴 장애가 가장 흔한 부작용이며, 
목 주위 근력 약화 및 경통, 입마름증(dry mouth), 쉰소리(hoarseness)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는데요.

 


반복 투여시 초기 주사에 대한 반응에 따라 용량 및 근육의 선택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주사 요법과 함께 근육 및 주위 조직의 구축과 근력 약화 등에 대한 도수치료가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 또한 치료사의 경험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보튤리늄 독소 주사 요법 외에도 항콜린성 제제 등을 포함한 약물치료가

단독으로 혹은 다른 제제와 함께 사용될수 있습니다. 
작용기전은 전정- 소뇌로(vestibular cerebellar pathways)에 대한 전도억제 및 부교감 신경계에 대한 억제 효과 등으로 알려져 있습니다만 큰 효과는 없습니다. 

 

부디 사경치료에 대한 많은 정보가 되었기를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