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자율신경계 검사란
자율신경계(autonomic nervous system, ANS)는 말초신경계에 속하는 신경계로
평활근과 심근, 외분비샘과 일부 내분비샘을 통제하여 동물 내부의 환경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자율신경이란 이름은 원래는 대뇌의 직접적인 지배를 받지 않는다라는 의미로 붙여졌으나
실제는 시상하부와 그 밖의 여러 중추신경의 지배를 받아 어느 정도 의식적인 조절이 가능합니다.
일반적으로 중추신경계로부터 반응기관까지 하나의 뉴런으로 이어져 있는 체성신경계와 달리
중추신경계와 이어져 있는 신경절이라는 뉴런의 집합체로부터 나옵니다.
자율신경계는 교감신경계와 부교감신경계로 나뉘게 됩니다.
2. 교감신경계와 부교감신경
자율신경계는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으로 나눌수 있고 서로 길항 작용을 합니다.
교감신경
자율신경계를 이루는 개개의 원심성 말초신경입니다.
중추는 척수의 흉요부측각에 있고, 혈관이나 내장에 들어가게 됩니다.
혈압 상승, 혈관 수축, 괄약근의 수축 등을 일으킵니다.
1 골격근과 폐의 혈액 흐름 증가
2 세기관지 팽창
3심박수 및 심근세포의 수축력 증가
4동공 및 모양체 근육 이완
5심장의 관상혈관 확장
6장 괄약근, 요도 괄약근 수축
7 연동운동 억제
8 성적흥분
부교감신경
교감 신경과 더불어 자율 신경계를 이루는 신경으로 교감 신경이 촉진되면 억제하는 일을 하고,
신체가 흥분되면 심장의 과도한 흥분을 억제하며 소화기의 작용을 촉진하게 됩니다.
위장 확장 및 혈류량 증가
세기관지 수축
동공 및 모양체 근육 수축
침샘자극, 연동운동 촉진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은 서로 반대의 작용을 하는 것처럼 보이나
각각 개별적으로 작동하며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합니다.
이런 자율신경 기능의 문제가 발생한 것을 자율신경실조증(autonomic dysfunction)이라고 표현하게 됩니다.
3. 기립경사 검사 (head-up tilt test)
1) 기립저혈압
2011년에 American Autonomic Society, European Federation of Autonomic Societies, Autonomic Research Group of the World
Federation of Neurology, Autonomic Disorders section of the
American Academy of Neurology에 의해 제시된 기준에 의하면 기립 후 3분 이내에 수축기 혈압이 20 mmHg 이상, 혹은 이완기혈압이 10 mmHg 이상 감소하였을 경우를 기립저혈압이라고 정의하고 있습다.
이 때 기립경사검사를 사용할 경우에는 60도 이상 기립을 시켜야 하며, 능동기립검사(active standing test)를 시행하였을 때에도 동일한 기준을 적용합니다. 주의할 점은 누운 자세에서 수축기 혈압 150 mmHg 이상 혹은 이완기 혈압 90 mmHg 이상인 앙와위고혈압 환자에서는 수축기 혈압이 30 mmHg 이상 혹은 이완기 혈압이 15 mmHg 이상 감소하는 것을 기립저혈압으로 판단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기립성저혈압은 크게 교감신경기능부전에 의한 신경성기립저혈압(neurogenic orthostatic hypotension)과
약물, 탈수 등에 의한 비신경성기립저혈압(non-neurogenic orthostatic hypotension)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두 가지가 구분되는 가장 큰 특징은 기립 후 심박수 변화량인데 신경성기립저혈압의 경우 기립 후 혈압은 감소되는데
비해 심박수는 거의 변화가 없으나
비신경성기립저혈압에서는 뚜렷한 심박수의 증가가 관찰됩니다
심박수 변화량이 분당 15회 이하인 경우 신경성기립저혈압을, 이상인 경우 비신경성기립저혈압을 시사한다는
의견이 있었으나 명확하게 구분되는 것은 아닙니다.
4. 발살바수기(Valsalva maneuver)를 통한 교감신경기능 평가
발살바수기 동안 혈압의 변화에 따라 각 시기를 I-IV상까지 나눌 수 있습니다.
대동맥의 압착으로 I상에서는 일시적으로 혈압이 상승하고,
전기 II상에서는 심장전부하(cardiac preload)와 일회박출량(stroke volume)의 감소로 인해 혈압이 낮아지며,
후기 II상에서는 심박수와 말초혈관수축을 증가시켜 혈압을 발살바수기 전 수준으로 올립니다.
발살바수기를 멈추면서 증가된 흉곽내 압력 때문에 폐혈관계로 혈액이 이동하면서 일시적으로 혈압이 감소하는 III상 이
후에 심장으로의 정맥혈 유입이 증가하고 말초혈관이 수축되어 있는 상태에서 심박출량이 증가하여 혈압이 과도하게 상승하는 IV상으로 이어집니다.
이 중 교감신경기능을 반영하는 것은 전기 II상에서의 혈압 감소 정도, 후기 II상에서 혈압의 회복 여부, IV상의 존재 여부들이 있습니다. 그러나 전기 II상은 체액량 감소에 따른 전부하 감소에서도 나타날 수 있으며, 65세 이상의 남자는 정상적으로도 후기 2상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해석에 주의를 필요합니다.
자율신경기능 평가 목적 외에도 소섬유신경병(small fiber neuropathy) 진단을 위해
보조적으로 QSART를 사용하는 경우도 점차 늘어나고 있습니다.
소섬유신경병의 확진 방법은 피부생검을 통한 표피내신경섬유밀도(intraepidermal nerve fiber density) 측정이나 국내에서는 이 검사가 현재 가능하지 않아 정량 감각검사(quantitative sensory testing)나 QSART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두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생활을 하면 뇌가 발달할까? (0) | 2023.03.12 |
---|---|
뇌를 많이 사용해야 발달하는 이유 (0) | 2023.03.12 |
음주로 인한 신경문제 - 베르니케 증후군 (0) | 2023.03.10 |
불면증의 디지털 치료제 (0) | 2023.03.10 |
임산부의 두통과 목 통증 도수치료 (1) | 2023.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