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불면증 - 개운하게 자고 일어나기 어려워요

반응형

은 여러가지 기능이 있습니다. 

 

피로 회복. 

에너지 회복. 

기억력을 도와주기도 하고요. 

낮에 학습한 정보를 재정리해서 장기기억으로 이동시키는 역할, 

낮동안 있었던 감정들을 정리해주는 시간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수면에 문제가 생기면 

신체적으로 

정신적으로 좋지 않은 영향을 미쳐요. 

 

불면증은 

수면의 양이나 질이 충분히 만족스럽지 못한 상태를 말합니다. 

 

불면증은 인구의 약 10~30%가 경험하는 흔한 증상이고, 남성보다는 여성에게 더 흔하게 나타나요.

 

 

 

  • 불면증은 잠이 들기가 어려운 형태,
  • 수면을 유지하기가 어려워서 잠이 들어도 자주 깨는 형태,
  • 새벽 일찍 깨어나서 다시 잠들지 못하는 형태로 나눌 수 있어요.
  •  
  • 이런 형태들이 사람에 따라 복합적으로 나타나기도 해요.
  • 이렇게 수면에 문제가 생기는 일이 일주일에 2~3회 이상이면서 석 달 이상 계속된다면
  • 의사의 진료를 받는 것이 좋아요.
  •  
  • 낮 동안에도 피곤하고 예민해지면서 사회생활이나 학업에도 지장이 생길 수 있어요. 

 

 

불면증은 뚜렷한 원인 없이도 나타나기도 하지만,

정신적 혹은 신체적 문제로 인해 나타나기도 해요.

주요우울장애나 불안장애 등 정신과 질환이 있을 때는 불면증이 생기기 쉬워요.

수면무호흡증이나 하지불안증후군처럼 다른 수면장애가 있을 때도 수면의 질이 나빠져요.

 

호흡기 질환이나 심장 질환, 통증처럼 신체적인 문제로 수면이 어려워지기도 해요.

스트레스나 환경 변화도 불면증의 원인이 될 수 있어요.

술이나 카페인, 일부 약물도 불면증을 일으킬 수 있어요.

불면증을 해결하려고 복용한 수면제가 도리어 수면 리듬을 망가트리고

다시 불면증의 원인이 되기도 해요. 

 

 

 

불면증의 치료는 크게 약물치료와 비약물 치료로 나눌 수 있어요.

약물치료는 불면증을 호전시키는 데 도움을 주지만, 수면제가 불면증의 근본적인 해결책은 아니에요.

 

약은 의사의 처방대로만 복용해야 하고,

불면증의 원인을 찾으려는 노력 없이 임의로 복용해서는 안 돼요.

한 달 이상 만성적으로 불면증이 나타난다면,

비약물 치료 중 하나인 인지행동치료가 가장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어요.

 

인지행동치료는 수면에 대한 잘못된 생각을 바꾸고 수면 습관을 고쳐나가면서 

잠을 스스로 조절할 수 있도록 도와줘요. 

 

 

 

https://www.youtube.com/watch?v=0TM0tLnMrDI

 

반응형